당송팔대가의 한 사람이었던 소동파(蘇東坡)의 아내 왕불(王弗)은 재색을 겸비한 여인이었다. 내조에 살뜰했으며, 시서(詩書)를 익혀 지적인 소통까지 가능했으니 사랑스러운 아내로 인한 동파의 행복감은 각별했다. 그러나 왕불은 동파와 부부의 인연을 맺은 지 11년 만에 세상을 떠난다. 관직에 나가 객지생활을 한 것을 제외하면 함께한 세월이라야 고작 4년 남짓했다.
동파의 슬픔은 곡진했다. 책을 읽을 때도 아내의 자태가 떠올랐고, 일을 처리할 때도 아내의 목소리가 귓전을 맴돌았다. 황망히 가버린 아내를 생각하며 잠 못 이루는 밤이 많았다. 동파는 아내의 무덤가에 3만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아내가 죽은 뒤 10년 후 꿈에서 보고는 단숨에 일어나 시 한 구절을 적었다. '서로 바라보며 그저 말이 없고, 오로지 눈물만 하염없이 흘렸네.'(相顧無言 惟有淚千行)
조선 후기의 대학자 추사 김정희도 아내를 여읜 슬픔을 '도망'(悼亡)이란 시에 담았다. 추사는 여기서 '다음 세상에서는 남편과 아내의 자리를 바꿔달라'고 기원한다. '내가 죽고 그대가 살아 천 리 멀어지면, 내 이 슬픔을 알게 될 것'이라는 울먹임이다. 자신의 유배 시절, 남편도 없는 집안의 대소사를 건사하느라 고생만 하다가 떠나는 아내의 임종도 지키지 못한 무력감과 자책감이 절절히 배어 있다.
얼마 전 '조선시대 선비 임재당 도망시(悼亡詩)-나 죽어서 당신 만나면 이 슬픔 그치겠지요'란 출판기념회가 열렸다. 이 책은 약 300년 전 전남 보성에서 살았던 선비 임재당이 남긴 '갑진일록'을 경북 경산의 한 연구가가 고서적 경매 사이트에서 구입한 후 한글로 번역해 화제가 된 것이다. 임재당이 먼저 세상을 뜬 아내 풍산 홍씨를 그리는 애틋한 마음을 담은 일기 형식의 한시 작품이다.
'책상 위에 농 한 짝, 시렁에 놓인 함/ 시집오는 그날 함께 가져온 것/ 함과 농 그대로이나 주인이 없으니….' 유교 문화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사대부나 선비의 입장에서 애처(愛妻)의 사연을 표현한다는 것이 쉽지는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망막에 여울진 사부곡(思婦曲)을 그렇게라도 표현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 문자향과 예술성 짙은 선비의 절절한 심사였으리라. 시대를 뛰어넘는 못다 한 해로(偕老)의 순정이 큰 울림으로 다가오는 세모(歲暮)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