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哭子(곡자)-허난설헌(許蘭雪軒)
곡자(哭子) / 허난설헌
지난 해 사랑하는 딸을 잃었고 去年喪愛女 거년상애녀
올해에는 사랑하는 아들을 잃었네. 今年喪愛子 금년상애자 시 창작의 동기
슬프고 슬픈 광릉 땅이여. 哀哀廣陵土 애애광릉토 감정 이입
두 무덤이 마주 보고 있구나. 雙墳相對起 쌍분상대기
백양나무에는 으스스 바람이 일어나고 蕭蕭白楊風 소소백양풍 배경=심리
도깨비불은 숲속에서 번쩍인다. 鬼火明松楸 귀화명송추 쓸쓸한 심회
지전으로 너의 혼을 부르고, 紙錢招汝魂 지전초여혼 ‘제망매가’ 연상
너희 무덤에 술잔을 따르네. 玄酒存汝丘 현주존여구 명복과 축원
아아, 너희들 남매의 혼은 應知第兄魂 응지제형혼
밤마다 정겹게 어울려 놀으리. 夜夜相追遊 야야상추유 축원과 화자의 자기위안
비록 뱃속에 아기가 있다 한들 縱有服中孩 종유복중해
어찌 그것이 자라기를 바라리오. 安可糞長成 안가분장성 죽은 자식에 대한 죄책감
황대 노래를 부질없이 부르며 浪吟黃坮詞 낭음황대사
피눈물로 울다가 목이 메이도다. 血泣悲呑聲 혈읍비탄성 극한적 슬픔 토로
<해설>
어린 아들과 딸을 잃어버린 어머니의 말할 수 없는 슬픔을 그려낸 한시이다. 작가 허난설헌이 자식들을 떠나보낸 후 피눈물 나는 슬픔을 노래하고 있는 작품으로, 젊어서 딸과 아들을 연이어 잃고, 자식의 무덤 앞에서 그 슬픔을 곡진하게 노래하고 있는 한시이다. 시에서 광릉 땅이 슬프다고 한 이유는 죽은 두 아이의 무덤이 광릉에 있기 때문이다. 무덤 앞에서 종이돈을 태우며 명복을 빌고, 두 아이가 혼백만이라도 꼭 붙어 다니며 이승에서 다하지 못한 정을 나누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하는 화자의 모습에서 극한의 슬픔과 안타까운 모정을 읽을 수 있다.
▪ 황대 노래 : 중국 당나라 고종 때의 사건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이다. 당 고종(高宗)에게는 여덟 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위로 넷은 측천무후의 소생이었다. 고종은 맏이인 홍(弘)을 태자로 삼았으나, 계후(繼后)가 홍을 시기하여 독살한다. 그러자 고종은 둘째 아들인 현(賢)을 태자로 세웠고, 수심이 많아진 현은 이 노래를 지어 악공에게 부르게 하였다. 그는 이 노래로 임금과 계후의 깨달음을 얻으려 했으나, 그도 결국 쫓겨나 죽고 말았다. 이 노래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황대 아래 외 심으니,
주렁주렁 외가 익네.
첫 번째 외는 좋다고 따내고
두 번째는 아직 여리다 솎아 내고
세 번째는 맛이 좋다 또 솎아 내고
네 번째는 덩굴째 걷어 가네.
---------------
지정무문(至情無文)이라 한다. 지극히 가까운 정분의, 지극히 절박한 감정에서는 글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뜻이다.
어린 두 자녀를 작금 양년 사이에 다 잃고 만, 모정의 아픔이야 실로 어떻다 하랴. 그런 극한 상황에서도 통곡을 삼키고 심서를 가다듬어, 이런 한편의 시를 이루었음이 우선 대견스럽다.
고시체인지라 비록 엄격한 율격을 요하는 것은 아니나, 여기서는 몇 차례의 환운에 의한 압운이 되어 있을 뿐, 기타는 거의 배려되어 있지 않은 채, 조탁(彫琢)도 퇴고(推敲)도 안 거친 대로, 낙서하듯 그적거려 던져버린 것 같이 거칠다. 그것은 저 〔 〕 부분만 보아도 그렇다.
이 부분의 듯은 다음 구의 '황대사(黃臺詞)'의 전제로는 약간의 의미를 가진다 할 수 있겠으나, 전체의 내용에는 도저히 조화될 수 없는 작대기감일 뿐이다. 어쩌면 시편을 정리하던 후인의 착종(錯綜)으로 딴 시에서 혼입(混入)된 연문(衍文: 문장 가운데 잘못 들어간 쓸데없는 말)이 아닌가고도 여겨질 만큼의 불협화음이다.
그런데도 이 시가 우리의 마음을 이처럼 크게 울리는 것은 어째서일까?
흐트러진 심사에서는 해조(諧調: 잘 조화됨)보다 오히려 난조가 제격으로, 독자의 심금을 또한 같은 난조로 뒤흔들어 놓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이는 필경, 시란 형식이나 기교보다는 심충(深衷)에서 솟구쳐 오르는 그대로의 가식없는 목소리여야 할 것임을 일깨워 주는 것이기도 하다.
끝구의 '황대사' 운운은, '내 황대사의 어미처럼 덕이 없고 사랑이 모자라, 제 자식을 스스로 연달아 죽인 것이나 다름없다.'는 자책(自責)이요 자형(自刑)이다. 황대사는 다음과 같다.
황대 아래 외 심으니
주렁주렁 외가 익네.
첫 번째는 외 좋으라 외 따내고
두 번째는 아직 배다 솎아내고
세 번째는 맛이 좋다 또 따내고
네 번째는 덩굴채로 걷어 가네.
種瓜黃臺下 瓜熟子離離
一摘使瓜好 再摘令瓜稀
三摘尙云可 四摘抱蔓歸
* 당 고종(高宗)의 아들이 여덟인데, 위로 넷은 천후(天后)의 소생이다.
맏인 홍(弘)을 태자로 삼았으나, 계후(繼后: 두 번째 왕비)가 시기하여 독살하게 되자, 둘째인 현(賢)을 태자로 세웠다. 그러나 현은 수심에 가득차 말이 없고, 이 노래를 지어 악공에 주어 부르게 하여, 상(임금)과 후(왕비)의
깨달음을 얻으려 했으나, 그도 결국 쫓겨나 죽고 말았다는 내용이다.
- 출처: "옛 詩情(시정)을 더듬어: 한국(韓國)역대명한시(名漢詩)평설", 손종섭, 1992
◈ 허난설헌의 삶과 문학
8살에 ‘백옥루상량문(白玉樓上樑文)’을 지을 정도로 영특했던 허난설헌(許蘭雪軒:1563-1589) 은 허엽의 딸로 태어나, 둘째 오빠인 허봉의 배려로 이달(李達)에게 한시를 배우는 행운을 누렸다. 그러나 학문이 깊어 갈수록 조선의 여인이라는 현실의 모순을 깊이 인식하게 되었으며, 김성립과의 불행한 결혼 생활과 친정 집안의 몰락은 그를 점차 깊은 한(恨)의 세계로 이끌었다. 허난설헌은 이러한 한을 개인적으로 삭이는 데서 그치지 않고, 문학을 통해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파악하고 그 부당함에 맞서 싸운 저항 시인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 허난설헌의 삼한(三恨)
① 중국이 아니 조선에 태어난 한
② 남자가 아닌 여자로 태어난 한
③ 김성립의 아내가 된 한
▣ 천재 여류시인 허난설헌(許欄雪軒)
허난설헌은 1563년(명종 18년) 당대의 석학인 동지 중추부사 초당 허엽(許曄)의 셋째딸로 태어났다. 본명은 초희(楚姬)였다. 잘 알려진 난설헌(蘭雪軒)은 그의 호이며 1577년(선조 10) 김성립(金誠立)과 결혼했으나 부부사이는 원만하지 못했다고 한다. 홍길동전의 저자로 유명한 허균(許筠)은 바로 그의 동생이며, 오라버니인 허성(許筬)과 허봉(許篈) 또한 뛰어난 문장가이니 가히 당대의 명문이라 할 것이다. 엽(曄)과 함께 4자녀는 강릉의 5문장가로 불리어지고 있다. [허씨 5문장 : 허엽, 허성, 허봉, 난설헌, 허균]
특히 난설헌(蘭雪軒)은 규수시인(閨秀詩人)으로 이름이 나서 황진이(黃眞伊)·신사임당(申師任堂)과 함께 [삼대여류시인(三大女流詩人)]으로 꼽히기도 한다.
난설헌은 천품이 뛰어나고 아름다운 용모를 타고나 어렸을 때 에는 여신동(女神童)이라고 까지 하였으며, 8세에 광한전 상량문을 지었을 정도이다. 어려서 동생의 재능을 알아본 오빠(허봉)의 배려로 글을 배우기 시작했으며, 시인 이달(李達)에게 사사(師事)하여 일찍이 천재적인 시재(詩才)를 보였다.
아버지가 객사하고 오빠 허봉이 정치적인 이유로 귀양후 방랑하다 객사하였으며 어머니도 병으로 객사했으며, 아들과 딸을 일찍 잃고, 죽기 얼마 전에는 뱃속의 아기까지 잃는 등 불행한 일도 많이 겪었다. 난설헌은 몰락해 가는 집안에 대한 안타까움과 자식을 잃은 아픔, 부부간의 금슬이 좋지 못함과 고부간의 갈등, 그리고 사회의 여성에 대한 억압 등을 창작으로 승화시켰다. 이와 같은 비극의 연속으로 삶의 의욕을 잃고 시작(詩作)으로 우울한 나날를 보내던 난설헌은, 1589년(선조 22년) 3월 27일, 27세를 일기로 요절 하였다.
동생 균(筠)이 명나라 시인 주지번(朱之蕃)에게 전달한 작품 일부가 중국에서 「난설헌집」으로 발간되어 격찬을 받았으며 또한 일본의 분다이야지로(文台室次郞)에 의하여 일본에서도 간행되었다.
그의 작품에는 유선시(遊仙詩), 규원가(閨怨歌) 등이 있는데, 사랑하는 두 아이를 잃고 뱃속에든 태아까지 잃은 애절한 아픔을 곡자(哭子) 등이 있다. 불행한 자신의 처지를 시작(詩作)으로 달래어 섬세한 필치와 여인의 독특한 감상을 노래했으며, 애상적 시풍의 특유한 시세계를 이룩하였다.
가난한 집 아씨는 열심히 옷을 만들어도 그 옷의 주인이 되지 못한다면서 사회의 불공평을 표현하였고 아버지 허엽이 화담 서경덕에게 배운지라 도교의 영향을 받기도 했고 서자 출신인 스승 이달(李達)의 불행한 처지를 알고 동생 허균과 함께 서출의 서러움을 충분히 이해하였다 한다. 주옥같은 200여편의 시를 남겼으며, 많은 작품을 생전에 태워버렸으나, 세상을 떠난 후 동생 허균이 이전에 베껴 놓은 것과 기억에 남은 것을 모아 《난설헌집》으로 펴내 지금까지 전한다.
-------------------------------------------------------------
[길, 만인보]허난설헌 무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