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외 인용문 2집
육유의 육십음
한문역사
2023. 1. 28. 21:03
게시글 본문내용
六十吟(육십음) - 陸游(육유)
人生久矣無百年(인생구의무백년) 인생은 길다지만 백년은 못 살기에, 六十七十已爲壽(육십칠십이위수) 예순 일흔 된다해도 오래산다 말한다네。 嗟予忽忽蹈此境(차여홀홀도차경) 신세 한탄 하다 보니 이지경이 문득 됐고, 衰髮如蓬面枯瘦(쇠발여봉면고수) 머리털은 쑥대요 낮짝은 고목이네. 孤松摧折老澗壑(고송최절오간예) 산곡간 외론 솔은 꺽인채로 늙어가고, 病馬淒涼依棧豆(병마처량의잔두) 병든 말은 처량하게 콩깎지에 의지하네。 尚無籌策活目前(상무주책활목전) 계획하는 것이 싫어 되는대로 살다보니, 豈有功名付身後(기유공명부신후) 어떻게 부귀공명 내게로 따라오랴? 壁疏風入燈焰搖(벽소풍입등염요) 벽 틈새로 바람 들어 등불은 흔들리고, 地爐火盡寒蕭蕭(지로화진한소소) 화로엔 불이 꺼져 한기만 스쳐간다。 胸中白虹吐千丈(흉중백홍토천장) 가슴 속 힌 무지개 천하를 덮었건만, 庭樹葉空衣未纊(정수옆공의미광) 뜨락엔 낙옆져도 솜 옷준비 못한다네。 |
댓글3추천해요0
스크랩0dbb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