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8.今日夫婦外出行(2024.5.16)
今日夫婦外出行(금일부부외출행):
오늘 울부부는 밖으로 외출을 합니다.
其所大邱博物館(기소대구박물관);
그곳은 대구박물관 입니다.
國立開館三十年(국립개관삼십년):(특별전시회)
국립 대구박물관으로 개관한지 30년 이랍니다.
武寧王妃金銅履(무령왕비금동리);(무령왕:扶餘斯麻462~523)
백제 제25대 무령왕비의 진품 금동신발이 놓여있습니다.
性澈大師黑履見(성철대사흑리견):(前:조계종 종정)
성철 큰스님의 천으로 꿔맨 검은 고무신도 보입니다.
海仁修女花紋履(해인수녀화문리):(1945년 해방동이)
이해인수녀님의 꽃무니 고무신도 보았답니다.
安東宅地開發出(안동택지개발출):(1998년4월)
경북 안동시 정상동의 택지개발 할 때 출토된
固城李氏應台墓(고성이씨응태묘):(1556~1586 31세)
고성이씨 이 응태의 묘에서 출토된(모두 진품전시)
諺文書信䋽麻履(언문서신봉마리):(䋽:미투리 봉 字)
눈물묻은 붓으로 쓴 한글편지와 한이 맺힌 미투리신발
未着病死思夫詞(미착병사사부사):(병술년,유월,초하루)
한 번 신어보지도 못하고 병으로 죽은 남편 생각하며 쓴 글.
亡夫胸上奉安埋(망부흉상봉안매);(워늬 아바님께 상백(上白))
죽은 남편 가슴위를 덮은 편지글로 신발은 머리맡에 묻은것이라.
慶高歷史博物館(경고역사박물관):(평양고보,경성고보,대구고보)
나와서 우린 또다시 길 건너편에 있는 경고역사박물관에 간다.
日帝序三開校史(일제서삼개교사):(1916년:대구고보- 경북고교))
일제때 한반도에서 세번째 고등보통학교로 개교한 역사가 있다.
朝鮮人才半嶺南(조선인재반영남):
옛날부터 조선의 인재 반은 영남에서 나오고
嶺南人材半善邱(영남인재반선구):
영남의 인재 그 반은 선산,대구에서 나온다고 했었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