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외 인용문 2집
방석화 한시
한문역사
2024. 7. 6. 20:59
게시글 본문내용
석화 옆에서
어젯밤 대청마루 동편에 꽃잎이 떨어졌다. 은은히 말없이 비추며 아직은 분홍색이어서 청초함이 돌아가신 어머니 모습이로다 슬프구나! 짧은 생, 순간 공허해진다.…. 내 엄마는 무슨 꽃을 좋아했을까? 나팔꽃일까? 들국화이었을까? 미닫이창 앞에서 내려 굽어보니 자작나무 홀로 높고 외롭구나. 傍石花 落花昨夜大廳東(낙화작야대청동) 隱映無言尙粉紅(은영무언상분홍) 淸楚恰如先妣貌(청초흡여선비모) 哀哉短命瞬間空(애재단명순간공) 我母何葩好(아모하파호) 天茄野菊乎(천가야국호) 推窓前俯瞰(퇴창전부감) 自作木高孤(자작목고고) ------------------------------------------ 傍(방)곁, 옆 昨夜(작야) 어젯밤 隱映(은영)은은하게 비침. 尙(상)오히려,더욱이. 恰如(흡여)흡사 先妣貌(선비모)돌아신 어머니 모습 哀哉(애재)슬프구나, 何葩(하파) 무슨 꽃? 天茄(천가) 나팔꽃 推窓前(퇴창전)미닫이 창 앞 俯瞰(부감)높은 곳에서 내려다봄.俯 구부릴 부 瞰 굽어볼 감 自作木(자작목)자작나무 *** 아침에 일어나서 거실에 오니·마루에 석화 한 송이 떨어져 있다. 조용히 주어서 옹기 화분 언저리에 올려놓는다. 아직은 살아있는 듯이 싱싱하고 청초하다. 돌아가신 어머니 사진의 얼굴 모습이 겹쳐진다. 잠깐 슬픔 낀 공허함이 스쳐 가고, 창밖으로 눈을 돌린다…. 꽃이 지고 잎사귀가 더 나오려는지 가지 끝에 초록 망울이 맺어있다. 7-8송이 함께 피던 꽃송이들이 떨어지고, 이제 마지막 한 송이 매달려 있다. 수컷(?) 석화는 언제나처럼 꽃을 피우지 못하고, 벌써 새잎이 나오기 시작했다. 석화 옆에 서 있는 내 모습이 석화와 비슷해진다…. 조금 있으면 미닫이 유리창 너머로 아파트 중앙로를 따라 학교 가는 초·중생들이 보일 것이다. 비 오면 색색 다른 우산일 것이다. 물끄러미 쳐다보면 그냥 좋다. 장마가 시작됐다. 2024.07.05. 思軒.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