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別記云 是王代 鍊石築瞻星臺. - 별기에 이르기를
이 (선덕)왕대에 돌을 다듬어 첨성대를 쌓았다". 1281년,
일연이 신라별기를 인용해 삼국유사에 쓴, 단 아홉 글자.
첨성대로 부르게 된 최초 기록입니다. 그런데 왜 쌓았는지
어떤 문헌에서도 알 수 없어 논쟁이 끊이질 않습니다.
기단부(2), 몸통부(27), 정(井)자석(2)까지는 31단.
불교 우주관으로 하늘과 땅을 더하니 도리천인 33천(天).
정자석 우물은 땅(현세)과 하늘(우주)를 연결하는 통로.
2004년, 사학자 김기흥은 경주 첨성대를 "도리천을 염원한
선덕여왕의 꿈과 비원을 담은 우주우물" 이라 했습니다.
정자석 모서리는 정확히 동짓날 해뜨는 동남향 32도.
둥근 몸통부를 쌓은 27단은 달의 공전 주기(27.3일),
몸통부와 정자석을 합한 29단은 음력 한 달(29.5일),
기단부 등 쌓아 올린 돌 365개는 1년 날 수를 의미한다며
2009년, 천문학자 박창범은 "확실한 천문대" 로 봤습니다.
"첨성대는 우주의 중심. 견우성 자리에 세운 첨성대를
중심으로 경주는 하늘의 별자리를 그대로 표현한 도시".
2009년, 방송사 PD 이용환은 대릉원·월지·계림 등 유적이
천상열차분야지도 별자리와 판박이임을 증명했습니다.
그의 다큐멘터리 '첨성대 별기'는 큰 반향을 불렀습니다.
논쟁은 계속됐습니다. "신라 천관녀는 첨성대 여사제.
몸통부 곡선은 여체, 남쪽 창은 여성의 생식기(성혈)".
2016년, 여신(女神)연구가 김명숙은 '첨성대, 여신의 신전'
논문에서 '첨성대는 박혁거세를 낳은 선도산 서술성모
여신의 신전이자 천문 관측대' 라는 새로운 견해를 냈습니다.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건축공학자 김장훈이 구조를 살펴
그 기능과 용도를 추적했지만 결론은 "모른다" 였습니다.
다만 그는 2019년 펴낸 책 '첨성대의 건축학적 수수께끼' 에
우아한 몸통 곡률은 밤낮 길이 변화와 딱 일치한다고 썼습니다.
갈수록 의문만 커지니 참으로 수수께끼 투성이입니다.
'현존하는, 세계에서 제일 오래된 천문대' 경주 첨성대.
여러 이설에도 별을 헤던 천문대로 여전히 빛을 발합니다.
첨성대가 '백성의 별' 견우성 자리에 든게 우연이 아니라면
점성(占星)이든 제단이든 도리천을 염원했든, 천문을 읽어
백성을 구하려는 정신은 변치않습니다. 그래서 더 값진 유산입니다.
그때 왕은 백성과 하늘의 중간자. 요즘처럼 역병이,
극심한 가뭄이 들면 별을 헤아리며 하늘에 머리를 조아렸습니다.
신라의 밤은 어두웠지만 선덕의 지혜는 찬란했습니다.
1천400년이 흐른 지금, 여전히 그때 그대로인 첨성대 앞에서
오늘은 선남선녀가 내일을 꿈꾸며 행복을 약속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