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652

대한민국 군번 1번 李 亨根 장군

역사속의 오늘-11월2일]국군 군번 1번... ‘이형근 장군' [미디어인천신문 김철한기자]1920년 오늘 국군 초기 창군의 주역이자 국군의 상징인 ‘군번 1번(10001)’의 주인공으로 6ㆍ25 전쟁 당시의 10대 미스터리를 제기한 이형근이 출생했다.그는 1951년 9월 휴전 회담 당시 한국 측 대표로 그리고 백선엽, 정일권과 함께 1950년대 군 주축 세력으로 활약하다 1959년 8월 대장으로 예편하여 재향군인회 회장과 주필리핀 특명전권대사를 거쳐 주영(駐英) 대사를 지냈다.이형근▲군번 1번 이형근은 충청남도 공주에서 출생하여 김천초등학교를 졸업했으며 초대 육군 참모총장을 지낸 이응준의 사위이다.1942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56기로 졸업한 후 일본군 포병 대위로 복무 중 태평양 ..

새 카테고리 2025.07.13

채명신 장군의 이력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대한민국 국군 장군.베트남전 당시 파월 한국군 사령관으로 유명하다. 우측의 사진도 파월 한국군 사령관 시절의 모습이다. 비교적 덜 알려져 있기는 한데 사실 한국전쟁 당시 '백골병단'이라고 불리는 게릴라 부대를 이끌고 북한군 점령지를 돌며 후방 교란을 펼쳐 전과들을 다수 올렸다. 이때의 전공과 경험들은 국군 전사 연구나 실전 사례 교육에서 비중이 높게 다뤄지고 있다.[2]매주 수요일 일선 부대에서 이뤄지는 정훈 교육 때 채명신의 존함과 행적을 언급하고 나면 분위기가 좋은 쪽으로 달라지더라는 경험담이 있을 정도로[3] 계급, 연령, 정치 성향을 불문하고 존경받는 원로였다.2. 생애[편집]2.1. 월남 장교[편집]본래 황해도 곡산군 출신으로 독립운동가로 투옥당한 아버지[4]를 대신해 가장 ..

새 카테고리 2025.07.13

蔡 命新 장군을 아시나요?

채명신 장군을 아시나요?글쓴이 전병규 -2023-11-2710:59 광복 이후 가장 많은 전투에 참전한 군인이다. 가장 많이 무공훈장(28개)을 받은 군인이다.6·25전쟁 당시 특수부대인 백골병단을 이끌며 북한군의 유격대장 길원팔을 포로로 잡는 등게릴라전의 최고 명장이다. 국군 역사상 최초이자 최대 파병한 월남(베트남)전에초대 주월사령관을 4년여 동안 역임했다. 휴전이후 북한군의 도발이 가장 많았던68년부터 3년 동안 한강 이남을 책임지는 2군사령관(현 2작전사령관)을 역임했다.장군묘역을 마다하고 파월용사묘역에 안장된 최초의 장군이다.▲1969년 환송식에서 채명신 장군 [사진=국가기록원]이 분은 10년 전 11월 25일 87세로 세상을 떠나신 명장 채명신 장군이다. 싸우면 이기는 장군의 무용담은 ..

새 카테고리 2025.07.13

박정희의 후반기,약력

1942년 만주국 신경군관학교 제2기 졸업(동기생 이한림장군:5.16당시 제1군사령관)1944년 일본국 육군사관학교 제57기 졸업(동기생 이한림장군, 예비역 육군중장) 1946년 조선 경비사관학교 제 2기 졸업 (한신대장,이세호대장) 추기):전세계에서 한사람이 3개국 사관학교를 졸업한 사람은 박정희 뿐이다.만주국,일본국 동기생인 이 한림 장군은 1946년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한다. (樂冊 具 本勳 追記하다) 약력1917년 11월 14일 - 박성빈과 백남의의 5남 2녀 중 5남으로로 출생1926년 - 구미공립보통학교 입학1932년 - 구미공립보통학교 졸업, 대구사범학교 입학.1936..

새 카테고리 2025.07.13

박정희 중반기 재임시절

대통령직 재임 시절5·16 군사정변 이 부분의 본문은 5·16 군사정변입니다.주한 미군 총사령부를 방문, 멜로이 사령관과 악수하고 있다.(1961년 8월 21일)5월 20일, 장도영과 함께 중앙청 광장에서5·16 군사정변은 1961년 5월 16일 새벽, 당시 제2군 사령부(사령관 최경록 중장)부사령관이었던 박정희 등의 주도하에 육군사관학교 5기생과 8기생 출신의 전투보병사단 중령급 대대장(오학진 등) 그리고 6군단 포병단(단장 5기생 문재준 대령과 예하8기생 중령급 대대장-신윤창 구자춘 등) 제 1공수특전단(단장 5기생 박치옥 대령 등 예하 장교 등)기타 박정희의 만군 인맥인 해병대 사령부(사령관 김성은 중장) 예하 여단(여단장 김윤근 준장과 예하 대대장 오정근 중령 등)이 일으킨 군사정변으로 뒤에는 참..

새 카테고리 2025.07.13

박정희 전반기 이력

박정희(朴正熙,[4] 1917년 11월 14일~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9대 대통령이다. 본관은 고령, 호는 중수(中樹)이다.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하고 3년간 교사로 재직하다 만주국 육군군관학교에 입학하였다. 졸업 성적 석차 2등으로 만주국 군관학교를 졸업한 후, 성적우수자 추천을 받아, 일본 육군사관학교에 57기로 입학한 후 1944년 수석으로 졸업했다.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망할 때까지 일본 제국이 수립한 만주국의 일제관동군장교로 근무하였다. 병과(兵科)는 포병(砲兵)이다.1945년 9월 21일 북경에서 활동하던 한국광복군에 편입되어 광복군 장교로 활동하다[5] 1946년 5월 10일에 미 해군 수송선을 타고 부산항을 통해 한반도로 귀국한다.[6] 이후 대한민국 국군 장교로 ..

새 카테고리 2025.07.13

과한 운동 ,오히려 毒이 된다.근육이 녹는다

과한 운동, 오히려 ‘독’ 된다… 근육 녹을 가능성↑배건형 에디터 님의 스토리 • 1일 • 1분 읽음무리한 운동, 몸에 독횡문근육해증 발생 위험 높아근육 녹고, 장기 손상출처: 셔터스톡평소 운동을 하지 않던 사람이 무리한 운동을 진행할 경우 심각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4일 의료계에 따르면 여름철을 맞아 과한 운동을 하거나 새롭게 운동을 시작하면 횡문근융해증이 발생할 수 있다.횡문근융해증은 격렬한 운동이나 외상, 약물 복용, 고온 노출 등으로 인해 근육이 손상되면서 근세포 내 성분이 혈액으로 유출돼 신장과 간 등 주요 장기에 악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다.특히 근육세포에서 빠져나온 미오글로빈, 칼륨, 크레아틴 키나이제는 신장에 독성을 일으켜 급성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고, 심할 경우 ..

건강상식방 2025.07.13

HDL,LDL이 균형 유지해야 심혈관 질환 막는다.

두 콜레스테롤 균형 유지해야 심혈관 질환 막는다바람직한 콜레스테롤 관리법김철중 의학전문기자입력 2025.05.01. 05:01업데이트 2025.05.02. 10:32 2 동맥경화를 일으켜 심혈관 질환 발생 주범으로 찍힌 저밀도 지단백(LDL) 콜레스테롤(이하 LDL).그러나 LDL은 지금까지 인류가 생존해 오도록 한 핵심 요체다. 콜레스테롤은 모든 세포막의구조와 각종 호르몬 생산 원료에 쓰이는 필수 물질이다. 이런 콜레스테롤을 혈액에서전신 세포로 갖다 나르는 운반체가 LDL이다.원시 인류는 동물성 음식을 통한 콜레스테롤 섭취가 적었기에 간에서 콜레스테롤을 자체 합성하여 LDL을 통해 세포에 공급하도록 했다. LDL은 필수 에너지 자원 전달 시스템의 주역이었다. 반면 심혈관 질환을 막아준다는 고밀도 ..

건강상식방 2025.07.13

육군대장 1호 백선엽 장군 이력

백선엽최근 수정 시각: 2025-07-11 19:09:43 백선엽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제1야전군사령관제1군단장제2군단장주불대사1920년 출생2020년 사망남포시 출신 인물여수·순천 10.19 사건/관련 인물6.25 전쟁/군인실향민수원 백씨강서군 출신 인물군인 출신 정치인서보장레지옹 도뇌르 훈장/오피시에흰코끼리 훈장 2등급태극무공훈장금탑산업훈장간도특설대 출신교통부장관육군사관학교 출신/전신 학교국방대학교 출신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더 보기 대한민국 제4대 연합참모본부총장대한민국 제19대 교통부장관백선엽白善燁|Paik Sun-yup[1]출생1920년 11월 23일평안남도 강서군 강서면 덕흥리(現 남포시 강서구역 덕흥동)사망2020년 7월 10일 (향년 99세..

새 카테고리 2025.07.12

五星將軍 金弘壹 장군의 이력

1. 개요[편집]나라를 사랑하고, 분명하게 책임을 완수하며, 죽어도 명예를 지켜라.김홍일助人快樂之本남을 돕는 것이 기쁨의 근본이다.해은공가훈[5]대한민국의 독립전쟁과 6.25 전쟁의 영웅[6]. 독립운동가이자 군인, 정치인.초명은 홍일(弘日)이며, 중국어 이름으로는 왕웅(王雄)·왕일서(王逸曙)·왕부고(王復高) 등을 썼다. 군에서의 최종 계급은 대한민국 육군 중장이다.구한말에 태어나 국권 피탈 직후인 1910년대 무장투쟁 시기부터 광복 때까지 수십 년간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협력하며 무장독립운동을 직간접적으로 이끈 인물이다. 동시에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군인으로서 국민당의 중국 통일에도 일익을 담당했고 중일전쟁에서는 최전선에서 중국국민당군을 이끌고 일본의 침략에 맞섰다. 6.25 전쟁에서는 초반에 붕괴된 국군..

새 카테고리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