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차 시(茶 詩) 차 시(茶 詩) 晝來一椀茶 [ 주래일완다 ] 낮이 오면 茶 한잔 夜來一場睡 [ 야래일장수 ] 밤이 오면 잠 한숨 靑山與白雲 [ 청산여백운 ] 푸른 山 흰 구름 더불어 共說無生死 [ 공설무생사 ] 生死가 없음을 함께 말하노라 白雲爲故舊 [ 백운위고구 ] 흰 구름은 옛 벗이요 明月是生涯 [ 명월시생.. 한시작법모음 2016.01.12
[스크랩] Re:최고로 간단한 한시이론 한시(漢詩) 고체시/근체시 * 근체시 : 당 나라 때 규칙에 맞게 지어진 시 * 고체시 : 당 나라 때 만들어진 규칙을 따르지 않은 시 전체를 지칭. 따라서 근체시 형식에 맞지 않는 시 모두를 고체시라 일컫는다. 고체시(古體詩) 1. 당나라 때 만들어진 규칙(5언절구.7언절구.5언율시.7언율시.배율.. 한시작법모음 2015.03.22
[스크랩] 漢詩를 처음 接하시는 분들께 漢詩를 처음 接하시는 분들께 다음 詩로 說明 드리겠습니다. 1 賢俊元窮死(현준원궁사) : 현명하고 준수한 사람은 원래 몹시 가난해 죽고, 2 侏儒自飽肥(주유자포비) : 못난 사람은 스스로 배부르고 살찌게 마련입니다. 肥(féi) 微 3 故家寧寂寞(고가녕적막) : 그러므로 가정이 비록 .. 한시작법모음 2015.03.19
[스크랩] 한시의 이론 ㉮.漢詩의 定義 漢詩는 말할 것도 없이 한자를 표현수단으로 한 詩를 말한다. 詩인지라 作者의 思想과 感情이 韻律을 빌어서 문자로 표현한 것이다. ㉯.漢詩의 起源 중국 고대의 시를 최초로 시집으로 편찬한 <詩經>에서 그 유래를 찾아야 할 것이다. 이 <詩經>을 집대성한 孔子는.. 한시작법모음 2015.03.19
[스크랩] 대우법 대우법 율시의 엄격한 대우는 일명 對仗(대장)이라고도 하는데 시의 한 특징이다. 대우는 수사법의 하나로 문학작품을 더욱 아름답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우는 시뿐만 아니라 부(賦), 사(詞), 곡(曲) 등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대우란 율시에서 함련과 경련이 각각 상하 句가 서로 짝이 .. 한시작법모음 2015.03.19
[스크랩] 漢詩 이론 : 近體詩의 形式 漢詩 이론 : 近體詩의 形式 중국어에 사성이 있는 것을 착안하여 사성(四聲)의 안배에 의해 시문의 성조(聲調)를 조정하는 것이 제,량 무렵부터 강구되었다. 특히 양의 심약(沈約)은 팔병설(八病說)을 내세워 오언시를 지을 때 성률면에서 피해야만 하는 8가지는 아래와 같다. 평두(平頭) .. 한시작법모음 2015.03.19
[스크랩] 평기식 측기식 7언율시(칠언율시)로서 염법(簾法)은 ◑표시는 평측무관(平仄無關) ○표시는 평성(平聲) ●표시는 측성(仄聲)으로 하는데, 구체적인 법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맨 마지막에 '韻'이라 함은 정해진 운자(韻字)를 사용해야 합니다. 단 매 줄마다 시작되는 부분의◑표시는 평측무관이지만, 그러.. 한시작법모음 2015.03.19
[스크랩] 한시(漢詩)의 이해 : 초보자는 반드시 보세요 한시(漢詩)의 이해 : 초보자는 읽어 보세요! 漢詩는 시대의 변천과 함께 그 형식을 갖추어 오다가 당나라 때에 이르러 엄격한 규칙을 수반하는 전형(典型)이 확립되었다. 이 엄격한 규칙을 수반하는 당나라 이후의 한시를 근체시(近體詩)라 하고, 그 이전의 시를 고체시(古體詩)라고 한다. .. 한시작법모음 2015.03.19
[스크랩] 近體詩(今體詩)의 理解 近體詩(今體詩)의 理解 古體詩는 대체적으로 ①歌謠와 樂府 ②雜言詩 ③五言古詩 ④七言古詩로 분류하는데 古體詩에서는 平仄을 不論한다. 近體詩(今體詩)는 唐나라 때에 書體가 확립되었고 ①絶句 ②律詩 ③排律이 있고 作法 에는 平仄法, 押韻法, 對偶法등이 있다. 絶句 絶句에는 五言.. 한시작법모음 201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