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외 인용문 2집

그립습니다 (2024.3.1)

한문역사 2024. 3. 3. 09:08

(평생 불심으로 살아온 어머니

내가 힘들 땐 언제나 손잡아 주셧는데)

2022년 5월 11일 따뜻한 봄날,

가족들의 축복 속에 어머니는 96세의 나이로 영면하셨다.

건강하게 잘 지내셨는데 불현듯 한 달 보름 정도 자리에

누우셨다. 내내 못 일어나시고 아들딸, 손자,손녀,증손자,

증손녀까지 두루 품에 안아 보며 마지막 이별의 시간을 

나누셧다.마지막 일주일간은 스스로 곡기(穀氣)를

끊으시고 두 눈을 감으셨다.

어머니의 마지막 모습을 지켜보며 :나도 어머니처럼 저렇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고 속으로 

생각한 적이 있다. 어머니는 남은 자식들 고생 안 시키려고 

아름다운 선물을 주고 그렇게 조용히 떠나셨다. 

어머니는 흔히 말하는 :복노인:의 삶을 사셨다. 

건강도 스스로 잘 챙기시며 ,하시고 싶은 것도 많이 하면서

번창한 자손들의 효도도 적지 않게 받으신 편이다.

그런 점도 행복한 노년의 삶 요건이었지만 무엇보다 어머니의

정신적 지주가 된  것은 신앙심이었다. 불자(佛子)들 사이에서 

:청정행(淸淨行)보살: 이라는 불명(佛名)으로 더 유명하신 분이다.

평생을 불심(佛心)으로 살아오셨기에 그렇게 아름다운 죽음을 

맞이할 수 있었던  게 아닐까 믿고 있다. 90세가 넘은 나이에도 

사찰(寺刹)의 크고 작은 행사에는 빠지지 않고 다니셨다.

가족의 안녕과 행복을 위해 부처님전에 공양 올리고 기도하셨다.

어머니의 삶에서 불교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최상(最上)의 가치다.

어머니의 불심은 내 삶에도 지대(至大)한 영향을 미쳤다 .

대학을 졸업하고 모 대학 신문사에 첫 발을 내디뎠지만 

일 년 남짓 만에 그곳을 떠나 잠시 쉬게 되었을 때 어머니의 권유로

해인사로 참배를 가게 되었다.해인사 큰 스님께서

:해인사에  머물면서 스님들의 일을 도와라 :고 하셨다.

큰 스님 말씀에 따라 불교 언론 출판 쪽에 몸 담게 됐고 벌써 40년째

일하고 있다.서울 불일회보 불일출판사 편집장을 맡아 법정 스님을 

모시고작업한 인연은 잊을 수 없다.불교 출판사의 대표로서 오늘의

내가  있기까지  딸은 어머니의 자부심이었고 어머니는 늘 옆에서 

든든한 지원군이었다.

어머니는 셋째 딸인 나를 유독 좋아하셨다.  네 딸들 중 여러면에서 

모자람이 많앗기에 걱정이 크셨기 때문일 것이다. 

어머니와는 함께 한 추억이 정말 많다. 1994년 파리 여행이 특별히

기억에 남는다. 내가 결혼을 하고 1993년 무렵, 남편을 따라 멀리

벨기에로 이주했을 때 어머니가 그리워 슬피 우는 딸을 보러

66세의  나이에 홀로 벨기에로 날아오셧다 . 네델란드 국제공항까지

모시러 갔는데 비행 도착시간 보다 한 시간이나 늦게 도착해 

어머니를 홀로 남겨지게 했던 불효를 저지르고 말았다.

지금 생각해도 너무 죄스럽고 아찔한 생각이 든다.

어머니께 유럽의 중심 파리를 구경시켜 드리려 에펠탑도 보고, 

베르사유 궁전 뜰도 거닐고 했지만 무언가 부족한 듯 했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모시고 간  곳이 바로 사찰이었다. 

파리 근교에 위치한 법정 스님께서 창건하신 길상사를 방문해

기뻐하시던 모습을 지금도 잊을 수가 없다.

내가 객지생활을 오래했기에 어머니는 살아가면서 힘들 때마다

손 내밀면 언제나 잡아주셨다.이제 그 손을 잡을 수 없으니 

그리움이 사무친다. 어머니가 그리울 때마다  어머니의 장례를

치르고 그 기록을 담은 앨범을 펼쳐본다. 그 한편에는 이렇게

적어두었다. :어머니의 가지인 아들딸들은 당신을 늘 기억하며

그리워하고 감사드립니다 . 어머니! 사랑합니다:(이철순님 글)

 2024.3.3.오전 9시 신문에서 옮겨쓰다. 본훈 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