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또 보고싶은 화면들

[스크랩] 신안선(보물선)의 인양품 전시

한문역사 2017. 10. 1. 21:53

목포소재 국립해양문화재 연구소에서는

1323년 여름 중국을 출하여 일본으로 향하던 한 무역선이 고려 신안 앞바다에서 사라졌다.

이후 1975년 8월 전남 신안 섬마을 어부의 그물에 물고기 대신 중국 도자기 6점이 걸려 올라왔다.

이를 계기로 7백여 년 가가이 바닷속에 잠겨 있던 무역선은 깨어나게 되었으며 발견된 지역의 이름을 따

"신안선"이라 부른다. 어부의 우연한 발견은 아시아 수중고고학 역사에서 "세기의 발굴"로 이어졌다.

수중 발굴은 1076년 부터 시작되어 1984년까지 9년여 동안 문화재 관리국[지금의 문화재청]과 국립중앙박물관,

해군 해난구조대 공동으로 진행되었고, 전라남도와 신안군의 지원도 뒤따랐다. 조사가 시작된 후 수심 약 20m에

베일 속에 감춰진 신안선의 존재가 드러났다. 바닷속 갯벌은 수백 년 동안 배를 보호하고 있었다.

신안선에는 7백여 년 전의 귀한 무역품들로 가득차 있었다. 당시 세계적으로 유명했던 중국 도자기 2만5여천점과

금속공예품, 석재품, 향신료 ,한약재, 등 총 2만 6천여 점이 실려 있었다. 신안선 화물칸 아래쪽에는 동남아시아

 고급 향나무1천여점 중국 동전 8백만 개도 실려있었다그야말로 역사상 최대의 보물선이었다.신안선과 보물들은

옛 사람이 남긴 유산으로서 14세기 바다를 무대로 무역활동을 펼친 중세 상인들의 삶과 동아시아 문화 흐름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를 잘 갖추어 조각나고 부식한 선체를 인양해 조각을 맞추고 도자기등 여러 유물을 전시해 놓고

2017,9.12- 12.31일까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전시실에 전시해 놓았습니다.

시간과 관심 있으신 분들은 관람해 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입장료는 무료입니다.













































출처 : 漢詩 속으로
글쓴이 : 松雲.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