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망증 : 치매
소소한 일상의 실수 : 중요한 일 자체를 잊음
힌트를 주면 기억한다 : 힌트를 줘도 기억 못한다.
기억력 감퇴 스스로 인식: 기억력 감퇴 認知 못한다.
일상생활 무리없다 : 일상생활 지장 있다.
노년층 다이어트 주의할 점
1.식사량 줄이지 말고 간식을 줄이기
2.평상시보다 많은 단백질 식품 먹기
3.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 같이하기
4. 체중보다 근육량 확인하기.
체온별 몸의 상태
37.5도 이상: 암세포 증식 저하, 체내 면역력 3배 상승
36.5도 :정상 체온 , 건강 유지.
36.2도 :배설기능 저하, 부종, 변비, 비만 일어날 위험
35.0도 :암세포가 가장 좋아하는 온도.
33.0도 :동사 직전, 환각상태에 빠짐.
-102세 健齒 어르신의 치아관리법-
어릴 때부터 입안(口內)이 건조하지 않도록 수시로 물을 마셨고,
식사 후엔 치간 칫솔과 치실을 꼭 썼어요.
6개월 마다 칫과가서 치아관리 받았다.
- 우리 몸의 下體는 제 2의 심장입니다.-
하체 근육은 단순히 걷기 능력뿐 아니라
몸 전체의 건강과 노화 방지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스쿼트 운동, 런지 운동, 힙 브릿지 운동, 한 발 균형잡기 운동,을
꾸준히 실천하면 100살까지 스스로 두 발로 걷는 튼튼한 하체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실천만이 건강한 노년을 보장해 주는 시작입니다..
한 발 균형잡기 운동: 낙상 예방 필수 운동이다.
힙 브릿지: 엉덩이와 허리 강화 운동.
스쿼트: 하체 근력 강화운동에 王이다.
런지: 균형감과 근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운동이다._
-운동은 내가 좋아하는 운동을 즐겁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1주일에 3회 이상, 1회에 30분 이상은 숨이 차고 땀이 나는 운동을
꾸준히 하면 100세 까지 두 발로 튼튼하게 걸을 수 있다.
한 자세, 똑 같은 자세로 오래 있는 것은 혈액 순환이 안 좋아지면서
근육의 피로물질이 제거되지 않아서 우리 몸 건강엔 아주 위험합니다.
가만 있지 말고 계속 움직여라.
적절히 먹으면서 운동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좋아하는 ,좋은 음식,을 천천히 먹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1일 7,000보 걷기,단백질 권장량 섭취, 7시간 숙면 취하기 만 하면
근육 감소를 크게 줄일 수 있다.
-KBS1TV 아침마당 출연 박민수 박사의 수면 가이드-
1.산소가 풍부한 잠자리가 마련되어야 한다.
2. 잠을 자는 동안 호흡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코로 호흡하기)
3.잠을 방해하는 주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야간 조명 등)
4. 7시간 내외의 적정 수면시간을 취한다.(하루 6.5~7.5시간))
5.아침에 해가 뜰 때 기상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밤10시~06시))
6.숙면하기 가장 좋은 온도는 22~24도 이고, 습도는 40~60%이다.
7. 숙면을 취하기 위해 실내 소등,리모컨 치우기,가장 편안한 옷차림으로
잠자리에 든다. -끝-
깊은 잠을 자기 위한 수면 환경
1. TV, 스마트폰, 블루라이트를 완전 차단한다.
2.소음과 불빛, 최대한 제거한다.
3.적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한다.
4.가장 편한 옷차림, 베개, 잠자리를 준비한다.
현미,통밀,보리,수수, 밤, 은행,브로콜리,새싹,보리새싹,순무새싹,
콩류(두부), 생선(멸치,고등어 명태 등)고기(닭고기,돈육살코기, 쇠고기)
계란,견과류((호두,잣,아몬드,땅콩),깨,들깨, 당근 호박, 표고버섯,
시금치, 콩나물, 양배추, 해조류(김 ,파래) 등 好好.
숙면하기 좋은 방법-
1 잠이 안 오면 누워있지 말고 나와서
TV 나 책 등을 보다가 졸리면 들어가서 잔다.
2.아침에 일어나는 시간은 꼭 지킨다.
3.낮엔 충분한 물을 마신다. 석식 후엔 최소한 적게 마신다.
4.석식 후 야식은 건강에 毒이다. 절대 피한다.
5. 숙면을 취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한다.(실내 적정온도 유지)
'건강상식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녀 갱년기를 완만하게 늦추는 방법(조선일보 건강편) (2) | 2025.06.30 |
---|---|
낙상 예방법(KBS 1TV.아침마당) (1) | 2025.06.30 |
소금(鹽,Salt)을 먹읍시다.(25-6-29) (0) | 2025.06.29 |
소금(鹽,Salt) 알고 먹읍시다. (3) | 2025.06.29 |
매일 하는 뇌 건강 습관 82세의 현역이야기(25-6-28) (1) | 2025.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