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론(對仗論)
대장(對仗)은 대우(對偶)라고도 하는데
한시 율시에 나타나는 수사법의 하나로서
함련(3,4구)과 경련(5,6구)에서 상하(上下)의 구가 서로 짝이 되게 하는 것을 말함
대우의 종류를 논하여 처음으로 체계화한 사람은 유협(劉勰;465-521)
유협 이후로 수 많은 사람이 대우를 논했음
대우를 만드는 방법은 크게 3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음
1)자의상칭법(字意相稱法) :
글자가 나타내는 의미(字意)로 짝을 이루게 하는 방법으로 의미의 대조와 리듬을 추구한다
2)字性相應法(사성상응법) :
글자의 품사가 같은 것끼리 짝을 이루게 하는 방법으로 대조와 리듬을 추구한다
3)平仄相叶法(평측상협법) :
연을 이루는 두 시구의 상하구(上下句)가
서로 반대가 되는 평측으로 짝을 이루게 하는 방법으로 소리의 조화를 추구한다
모든 대장은 위와 같은 3가지 요소를 기초로 더욱 세분화해서 분류한 것에 불과하다
여기서는 알려진 장정체(張正體)의 분류를 소개한다
■장정체(張正體)의 대장 분류
1. 평두대(平頭對) :
짝을 이루는 두 구절에서, 서로 낱말이 대(對)가 되고, 품사와 어순도 같아야 한다
보기)
滄海月明珠有淚
藍田日暖玉生煙
<滄海>와 <藍田>, <月明>과 <日暖>, <珠有淚>와 <玉生煙>이 짝을 이룬다
2. 합벽대(合壁對) :
짝을 이루는 두 구절에서, 서로 글자의 뜻이 대(對)가 되고, 품사도 같고 평측도 같아야 한다
보기)
戶外一峯秀
階前衆壑深
마주보는 글자끼리 의미, 품사, 평측이 짝을 이룬다
3. 수주대(垂珠對) :
짝을 이루는 두 구절에서, 연속적으로 같은 글자를 중복해서 써서 구슬을 꿰어 드리운 것같이 한다.
보기)
樹樹皆秋色
山山惟落暉
4. 공벽대(拱璧對) :
짝을 이루는 두 구절에서, 같은 두 글자 사이에 다른 1글자가 낀 것 같은 시구가 서로 짝을 이룬 경우다
보기)
自去自來梁上燕
相近相親水中鷗
5. 격구대(隔句對) :
한 구절을 건너 다음 구절과 짝이 되는 것을 말한다
보기)
昨夜越階難
含悲赴上蘭
今朝逾嶺易
抱笑入長安
6. 연벽대(連璧對) :
서로 대가 되는 시련(詩聯)이 연속된 것으로
합벽대(合壁對)가 두 개 연속된 것이다
보기)
千山鳥飛絶
萬徑人蹤滅
孤舟蓑笠翁
獨釣寒江雪
위에서 1,2구가 하나의 합병대를 이루고 3,4구가 또 하나의 합병대를 이루어
합병대 둘이 연속되어있다
7. 호성대(互成對) :
글자끼리 대가 되고 글자가 모인 낱말도 의미상 서로 대가 되는 경우이다
보기)
黃葉仍風雨
靑樓自管絃
여기서 글자 <黃>과 <靑>이 대가 되고 글자 <葉>과 <樓>가 되가 되는데
<黃>과 <葉>이 결합된 낱말 <黃葉>과
<靑>과 <樓>가 결합된 낱말 <靑樓>가 서로 대가 된다
8. 실자대(實字對) :
두개 이상의 실자가 대를 이루는 경우인제 여기서 실자란 허자(虛字)와 상대되는 말로
명사 대명사처럼 독립성이 있는 낱말을 뜻한다
보기)
9. 허자대(虛字對) :
실자대(實字對)와 대립적인 개념으로, 두개 이상의 虛字(허자)가 대를 이루는 경우를 말한다
보기)
腸斷未忍掃
眼穿仍欲歸
여기서 <腸><眼>은 명사로서 실사이나 그 외는 허자이다
10. 유수대(流水對) :
한 련을 이루는 두 싯귀가 의미상 서로 연관되어 있는 것을 이르는 것으로
<원인>과 <결과>, <조건>과 <결과>처럼 의미상 흐르는 물같이 연속되어있다
보기)
唯將遲暮供多病
未有涓埃答聖朝
윗구의 내용이 원인이 되어 아랫구의 내용이 성립된다
11. 문답대(問答對) :
질문과 대답하는 관계로 두 싯귀가 연결되는 경우이다
보기)
誰愛風流高格調
共憐時世儉梳妝
윗구의 내용이 질문을 이루고 아랫구의 내용이 대답을 이룬다
12. 교고대(交股對) :
윗구 안에서 내용이 서로 대가 되는 글자가 있고
아랫구 안에서도 내용이 서로 대가 되는 글자가 있는 시련(詩聯)에서
이 글자들이 위아랫 구 끼리 서로 교차되어 짝이 되는 경우다
보기)
高樹曉還密
遠山晴更多
윗구의 <高>와 <密>이 상관 되고, 아랫구의 <遠>과 <多>가 상관 되는데,
윗구의 <高>와 아랫구의 <多>가 상관 되고
윗구의 <密>과 아랫구의 <遠>이 서로 교차되어 상관된다
13. 혼괄대(渾括對) :
윗구와 아랫구가 글자나 낱말이 짝이 되는 것이 아니라 내용상으로 짝이 되는 경우다
보기)
伯仲之間見伊呂
指揮若定失蕭曹
윗구의 <伯仲之間>과 아랫구의 <指揮若定>은 내용상 짝을 이룬다
14. 가차대(假借對) :
글자나 낱말의 뜻이나 소리를 빌려 짝을 이루는 경우를 말하며 3가지로 나누어진다
가)차자대(借字對) :
글자는 달라도 낱말 단위의 뜻이 같아 서로 짝을 이루는 경우
보기)
開軒面場圃
把酒話桑麻
아랫구에서 <桑麻>는 끝이 바뀌어 <전원>의 뜻이므로
윗구의 <場圃>와 의미상 짝이 된다
나)차의대(借意對) :
글자가 달라도 그 글자의 뜻이 같아 짝을 이룬 경우이다
보기)
酒債尋常行處有
人生七十古來稀
윗구의 <尋常>은 <항상>이라는 뜻이나
<尋>이 길이의 단위로 쓰이면 <8尺>의 뜻이 있고 <尋>은 <16척>의 뜻이 있으므로
아랫구의 <七十>과 같이 <숫자>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서로 동류로 보아 짝으로 인정하는 경우이다.
다)차성대(借聲對) :
글자의 뜻과 관계없이 글자의 소리로 짝을 맞추는 경우이다
보기)
野鶴淸新出
山精白日藏
여기서 <淸>의 음이 <靑>과 같으므로 <白>과 짝을 이룬 경우다
15. 동류대(同類對) :
윗구와 아랫구의 의미가 같은 종류에 속한 것을 짝을 이룬 경우로서
종류를 열거하면 다름과 같다
천문대(天門對) : 천문과 기상에 관한 내용
지리대(地理對) : 지리에 관한 내용
시령대(時令對) : 절기에 관한 내용
관실대(官室對) : 건물과 집에 관한 내용
초목대(草木對) : 초목의 이름에 관한 내용
화과대(花果對) : 꽃과 열매에 관한 내용
조수대(鳥獸對) : 새와 짐승에 관한 내용
기물대(器物對) : 살림살이에 쓰이는 그릇과 물건에 관한 내용
의식대(衣飾對) : 옷과 장식에 관한 내용
문사대(文事對) : 학문과 예술에 관한 내용
인륜대(人倫對) : 인간의 신분 질서에 관한 내용
안색대(顔色對) : 표정과 태도에 관한 내용
방위대(方位對) : 방위에 관한 내용
인명대(人名對) : 사람의 이름에 관한 내용
간지대(干支對) : 간지에 관한 내용
사사대(史事對) : 역사의 일에 관한 내용
음식대(飮食對) : 음식에 관한 내용
교통대(交通對) : 교제 응대에 관한 내용
건설대(建設對) : 건설에 관한 내용
16. 교변대(巧變對) :
싯구에서 같은 것 같으나 실제는 다른 사물을 교묘하게 나타내는 경우이다
17. 쌍성대(雙聲對) :
윗구와 아랫구에 연속적으로 같은 초성을 쓰는 경우이다
18. 첩운대(疊韻對) :
윗구와 아랫구에 연속적으로 같은 운에 속한 글자를 쓰는 경우이다
19. 쌍성첩운대(雙聲疊韻對) :
한 구는 쌍성자로 다른 한 구는 첩운자로 짝하는 경우이다
20. 무정대(無情對) :
윗구와 아랫구가 서로 연관관계가 없을 것 같으나 유정한 관계가 묻어나오는 경우이다
'한시작법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시(漢詩)의 이해 : 초보자는 반드시 보세요 (0) | 2015.03.19 |
---|---|
[스크랩] 近體詩(今體詩)의 理解 (0) | 2015.03.19 |
[스크랩] 한시를 잘 쓰려면.. (0) | 2015.03.19 |
[스크랩] 독음별평측 (0) | 2015.03.19 |
[스크랩] 漢詩작법 (平仄 및 押韻法) (0) | 201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