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번역원글 모음

[스크랩] 떠나간 아내를 그리며

한문역사 2018. 9. 18. 21:21

- 예순여섯 번째 이야기
2013년 8월 8일 (목)
떠나간 아내를 그리며

내 그대 버리지 않았는데 그대 나를 버렸으니
좋은 충고 신실한 맹서가 다 부질없게 되었구료
저세상에서 어버이 모실 테니 그대는 즐겁겠지만
나를 위해 왜 조금 더 있다 가지 않았단 말이오

吾不負君君負余
良箴信誓一成虛
歸侍重泉君則樂
爲吾何不少躊躇

- 오원(吳瑗, 1700∼1740)
「세상 떠난 아내를 애도하다(悼亡室)」
『월곡집(月谷集)』권2
 


  이 시는 오원이 1715년 16세 때 맞이한 첫째 부인 안동 권씨(安東權氏)를 보낸 슬픔을 애도한 것이다. 오원은 생부가 오진주(吳晉周)인데, 아들이 없었던 그의 형 오태주(吳泰周)에게 출계(出系)하였다. 오태주는 현종(顯宗)의 따님 명안공주(明安公主)에게 장가들어 해창위(海昌尉)에 봉해지기도 했는데 1716년 49세에 별세하였다. 바로 안동 권씨가 시집온 지 한 해 남짓 지난 때로, 안동 권씨는 상례를 치르면서 병을 앓다가 한 해 뒤 연제(練祭)를 지내고 병이 더 심해져 결국 해를 넘긴 1718년 1월 1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안동 권씨는 오원과 동년생으로, 슬하에 딸 하나만을 남기고 부부의 연을 맺은 지 만 3년도 되지 않아 사별하게 된 것이다.

  아, 그대 이 세상에 온 지 겨우 이십 년에서조차 한 해를 채우지 못하였으니 이 얼마나 짧단 말이오. 그대 떠나면서 세 살배기 아이 하나 남겨 놓았는데 또한 사내자식이 아니니 이 얼마나 박복하단 말이오. 그대 친정 부모를 떠나 격조한 세월이 오래되었는데 수일이나 걸리는 먼 곳에 있어 병중에는 서로 의지하지 못하고 임종 때는 얼굴 보며 영결하지 못하여 끝내 한을 품고 관에 들어가게 되었으니 아, 심하구료, 이 참담함이! 아, 슬프구료.

  부부의 의리가 또한 귀중하다 할 것이니 이는 두 몸이 합하여 한 몸이 되고 나서 백 년을 해로하여 길이 무궁한 복을 받으려고 하는 것이오. 그런데 그대가 내 아내가 된 지는 실로 네 해가 되지 못하였구료. 지금 그대의 죽음은 바로 인생의 지극한 슬픔과 천하의 지극한 곤궁을 품고 있소. 그 가련한 정상(情狀)이 행인들도 슬픔에 빠지게 하는데 하물며 나는 어떤 마음이겠소. 아, 슬프구료.

  그대가 평소 내 완악함을 모르고 내가 숨이 끊어질까 걱정하고 내가 몸이 상할까 근심하여 죽을 때까지 그치지 않았던 일을 생각하노라니 아마 지금 아득한 저 명부(冥府)에서도 그대 자신이 죽은 것을 슬퍼할 겨를도 없이 나를 슬퍼할 것이 분명하오.

  오원이 1718년 안동 권씨를 위해 지은 제문(祭文) 중의 일부로, 이 글을 읽으면 아내를 잃은 절절한 슬픔이 행간에 넘쳐난다. 스무 살도 안 된 젊은 부부가 사별하였으니 감정이 북받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어미가 어디 간 줄 모를 딸아이의 해맑은 표정을 바라보며 가슴이 찢어지지 않을 아버지가 어디 있을까. 더구나 안동 권씨는 효성이 깊고 남편에게 충고할 줄 아는 여사(女士)의 기풍이 있어 오원 자신 인생의 벗으로까지 생각하고 있었다. 제문의 다른 부분에서 부친 해창위 오태주가 평소 과묵하고 칭찬하는 일이 적었는데 며느리를 얻은 것을 기뻐하며 현부(賢婦)라고 칭찬하면서 며느리의 효순(孝順)한 행동거지 하나하나를 사람들에게 자랑하여 오원 자신보다 며느리를 더 아끼는 듯했다고 하고, 부친이 식사할 때는 며느리를 반드시 곁에서 모시며 식사하게 하고 앉아있을 때는 반드시 모시고 앉아있게 하였다는 일화가 소개되어 있다. 또 오원이 1719년 안동 권씨를 위해 지은 행록(行錄)에는 부인이 딸 다섯 중에 가장 어질고 친부모도 부인을 가장 사랑했으며 성품이 효순해서 어린 시절부터 어버이 곁을 잠시도 떠나지 못했다고 하는 안동 권씨의 모친 송씨(宋氏)의 술회(述懷)를 기록하고 있기도 하다.

  오원은 부인과 사별한 지 3년 뒤인 1721년 한식 하루 전날 안동 권씨의 묘에서 곡하면서 묘 앞에 석상(石床)과 석주(石柱)를 세울 때 다시 한 편의 제문을 지어 아내를 추모한다.

  그대 이곳에 묻힌 지도 어느덧 훌쩍 해가 몇 번 바뀌어…… 다시 아내를 맞게 되고 ……곱게 자란 딸아이는 뜰에서 뛰놀게 되었소.…… 야속한 인정은 떠나간 사람을 점점 잊게 만들어 눈물은 마르고 마음은 굳어져 가오. 가버린 사람을 잊어버리게 되는 슬픔이 그 사람을 잊지 못하는 슬픔보다 더 큰 것은 아닐지. 그대의 얼굴과 목소리는 희미해지고 꿈에서조차 자주 나타나지 않는구료. 저세상에서 그대 억울한 마음에 구천을 떠돌고 있지나 않을는지.

  장마가 한창이던 7월의 어느 비 오는 밤, 아내가 죽는 꿈을 꾼 적이 있다. 꿈속에서 나는 가슴을 치며 울기까기 하였다. 꿈에서 깨어 눈을 뜬 채 천장을 바라보노라니, 꿈속의 슬픔이 여운으로 남았던지 눈물이 주르르 흘러내렸다. 천천히 고개를 돌려 아내의 얼굴을 바라보았다. 두 아이의 엄마로, 가정에서 하루하루 전쟁을 벌이고 있는 그녀의 초췌하고 동그란 얼굴이 내 눈으로 들어왔다. 오원의 마음을 조금은 알 것 같다. 힘들고 고단한 인생길에서 벗이 되어주는 아내에게 오늘은 따뜻한 미소와 말 한 마디 건네야겠다.

 

글쓴이 : 변구일(한국고전번역원 연구원)
출처 : 漢詩 속으로
글쓴이 : 巨村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