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또 보고싶은 화면들

[스크랩] 1960년대 한국의 삶의 모습

한문역사 2016. 11. 17. 21:11

 

 

 

 

  

우리 세대 아버지들의 자전거 묘기 (1966)

  

 

 

 

 

1966년 서울의 전차와 버스와 안내양 그리고 삼발이 트럭 그리고 시외버스 

  

1966년 우리나라 소주와 맥주 포도주 위스키 

4홉들이 소주병 2홉들이 소주병 그리고 맥주병

 

 

 

 

1966년 서울시의 동대문 풍경

  

 

 

1966년 수원화성

 

 

 

 

의정부 (1966)

 

 

 

 

1966년 겨울 썰매(쓰께또)를 타고있는 서울의 어린이들, 이들이 바로 모형쟁이와 같은 세대이다  

  

 

 

1966년의  우리민족의 전통 초가집 모습 


 


우리민족이 반만년을 대를 이어 살아왔던 전형적인 한옥이였지만


1970년대 박정희 대통령의 창안으로 새마을운동이 전개되자


거의 전부 허물어 현재는 구경하기 힘들고 우리민족의 토속신앙을


미신으로 몰아쳐 마을마다 곳곳마다 존재했던 성황당까지 허물어


지금은 아쉽게도 구경하기가 힘들어졌고 그대신 장승문화가 연연히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우리의 토속신앙의 번창이 우리 민족의 강한


단결심이요 이를 장려해 나가는 것이 마땅하다 우리의 전통은


헌것이라 하여 버리고 서양에서 들어 온것은 신문화인양 맹목적으로


받아 들임은 오히려 민족혼은 사라지며 사회는 혼란해진다


 


현재 우리 아이들은 도시의 아파트에 살며 각종 피부병에 시달린다


원인은 공업용 자재로 집을 지은 아파트에서 자라기 때문인데


뻔질나게 소아과 병원에 다니고 있지만 계속 어린이 질병은 반복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 어린이들이 농촌에 살며 전통가옥에


땅을 밟고 흙을 만지며 곡식채소 재배도 해보며 휴식을 취하며


년령에 맞게 살아있는 교육을 받아야 한다 년령에 맞지않는 어린이


조기 교육은 쓸데없는 금전낭비이며 미래의 우리나라를 병들게 하는것이다。




출처 : 2009 대덕산악회
글쓴이 : 해송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