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외 인용문 2집

조선 성종조 팔극조정 광주이씨 이야기

한문역사 2025. 2. 11. 05:46

조선 초기 명문가 광주이씨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조선 초기 명문가 광주이씨

 

 

아래 견고딕으로 된 관직이

                      광주이씨를 빛낸 분들이다.

앞으로 그들의 발복지를 분석한다.

 

廣州李氏

01李唐(영천군 북안면 도유리 壬坐) 배인화이씨(경기 화남시 덕풍동 산24-1)-02逢 集 希齡 自齡 省

        02(仁齡)----------03(강원도령)----04東仁-------------05世年 克年 延年

        02(1387졸 묘좌----03아래별도기재

        02希齡(지군사)----03洪順(무후)

        02自齡(이조참의)--03蓮仝(장악원정)-04蓬老(이조참판)-05斗信(공조판서)

                                                         06(현감) (이조참의)

                                                         06(현감)-- 07叔耕(부사) 叔剛(찰방) 叔貞(부사) 叔明(부사)

                                                         06(관찰사)-07安道(진사)

       02(天齡무후)

 

 

족보에 01(A/C)을 1세로 시작함

01(A/C)-

        02之直(형조참의 B/C 배경주이씨A/C)-03長孫 仁孫 禮孫

               03長孫(사인 이장무기)-1남8녀

                     04克圭(참판 이장 C/E)-

                            05成壽-06姬奭(병절교위)-07誠慶(감찰)-08汝詢(동추)-

               03仁孫(우의정 무기)-04克培 克堪 克增 克墩 克均

                     04克培(영의정 C/D

                            05世忠(군수 墓이장? 무기)-06守謙 守恭

                                   06守謙(정랑)-07以乾(찰방)-08時茂(판결사 이장? 무기)-09廷立(참판)

                                   06守恭(홍문관전한 甲子被禍1504)

                            05世弼(참판 대사헌 )

                            05世匡(동부승지 부제학 甲子被禍 )

                     04克堪(형조판서 )

                            05世佐(우찬성甲子被禍 무기)

                                   06守元(충청도도사 甲子被禍 무기)

                                   06守亨(지제교 甲子被禍 양자)

                                   06守義(검열 甲子被禍)-

                                   06守貞(수찬 甲子被禍 )-07潤慶(병조판서) 浚慶(영의정 )

                            05世佑(경기도관찰사)-06滋

                                   06(판서戊午被禍 )-07若水(좌통례 乙巳被禍)

                                                                       07若永(직제학 乙巳被禍)

                            05世傑(첨추甲子被禍 )

                     04克增(병조판서 좌참찬 판중추부사 )

                            05世弘(선공감정)

                                     06復命-07宜慶(군수)-08延祿(동추)

                     04克墩(좌찬성 무기)

                            05世卿(장령)-06秀薰(교리)-07(참의)-08友善(판서)

                                                                                                  09爾膽(대제학 판서 인조반정참여)

                            05世貞(도승지 관찰사 B/E)-06秀蓁(군수C/C)- 07孟昌(군수 C/B)

                                   06秀筦(현감)-07惟亨------------08慶南(군자감정 임란창의)

                                                          07惟昌(부사과)-----08敏臣(임란창의)

                                                          07惟蕃------------08應男(현감)--09誠臣(임란창의)        

                                                     08賢男(병조참판)-                                

                            ​05世綸(병조참의 훈련원정 이장? 무기)

                                            06秀蘭-07潤身(절제사)-08汝淸(현령)-09景立(판서)

                            05世規-06亮弼-07佑漢-08英達-09宗道(병조참판)

                     04克均(좌의정 甲子被禍)-05世俊(부사甲子被禍이장)-06守忠(사과이장)

                                                        -07振慶(이장)-8民聖(지추)-09德馨(영의정)-10如璜(참판)

               03禮孫(형조참의 관찰사 )

                     04克基(참판)-05(군수)-06熙廣(통덕)-07安鐺(정랑)-08(교관)-09山澤(임란창의)

                     04克堅(좌통례 墓전북임피)-

                            05(부사)-06英符(정랑)-07重慶(이조참판)

                            05------06德符-07遵慶-08熙復-09潤雨(판서 원종공신)-10道長(지제교)

                                                                                         11元禎(이조판서)-12耼命(이조참판)

                                                                                          11元祿(대사헌 1629-1680 庚申被禍)

                                                        07遠慶-08心慤-09和雨(동추)

                            05-------06英賢(예조참판)

        02之剛(좌참찬 )

               03貞元(이조정랑)

                     04用浩(군수)-

                            05興福--06自霖--07榮植(정언)-08春遇(첨추 오위장 원종1등공신)

                                                                                    08春蘭(선무1등공신)

                                                                                    08春起(판관 선무2등공신)

 

 

 

 

조용헌 살롱 八克朝廷

조선 세조에서 예종을 거쳐 성종 대에 이르는 기간에

‘팔극조정(八克朝廷)’이란 말이 한때 떠돌았었다. 조정 회의에

무려 8명의 ‘극(克)’자 들어가는 광주이씨(廣州李氏) 집안 형제들이

참석하였기 때문이다. 어전회의에 참석하는 장·차관 자리를

광주이씨 형제들이 거의 차지했다는 뜻이다.

 

‘극’자는 집안 항렬이었다.

제일 큰형인 이극배(李克培)는 영의정을 지냈고,

둘째 이극감(李克堪)은 형조판서,

셋째인 이극증(李克增)은 병조판서,

넷째인 이극돈(李克墩)은 병조·호조판서,

다섯째인 이극균(李克均)은 이조판서를 지냈다.

여기까지가 ‘오극(五克)’이고,

나머지 삼극(三克)은 사촌형제들이 차지하였다.

사촌형제인 이극규(李克圭)는 이조참판,

이극기(李克基)는 공조참판, 이극견(李克堅)은 좌통례를 지내고

이조참의에 증직되었다. 이렇게 해서 8명이다.

 

이 ‘팔극조정’은 보학(譜學)을 연구하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광주이씨들의 성세(盛世)를 상징하는 표현으로 회자되고 있다.

이 집안은 이후에 벌어지는 몇 차례의 사화(士禍)를 겪으면서

완전히 몰락한다. 그러고 나서 다시 나온 인물이

둘째인 이극감의 후손인 동고(東皐) 이준경(李浚慶·1499~ 1572)이다.

흔히 ‘동고 대감’으로 불리는 이준경은 인재를 판별하는

지인지감(知人之鑑)이 발달했던 인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수원대 이사장인 이종욱씨가 동고 대감의 후손이다.

서울대 총장을 지냈고, 신한국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나왔던

이수성씨는 이극견의 후손이다.

 

현재 사법부의 수장인 이용훈(李容勳) 대법원장도 ‘팔극’가운데 한 명인

이극돈의 16대 후손이다. 이용훈 대법원장의 고향인 전남 보성군 득량면

강골(江洞)마을은 16세기 후반부터 광주이씨들이 모여 사는 집성촌이다.

광주고검장을 지낸 이용식(李容植) 검사도 같은 ‘용(容)’자 항렬이다.

민주당 5선 의원을 지낸 이중재(李重載) 의원은 용자 다음의 ‘재(載)’자

항렬로서 강골 출신이다. 이중재의 장남인 이종구(李鍾九)는 현재 한나라당

서울 강남갑구 국회의원이고, 둘째인 이종욱(李鍾旭)은 외국어대 학장을 지냈고,

셋째인 이종호(李鍾鎬)는 광주지법 부장판사로 있다.

 

보학을 연구하다 보면 이처럼 ‘왕대밭에서 왕대 나오고

쑥대밭에서 쑥대 나오는’ 경우가 자주 발견된다.

조용헌 goat1356@hanmail.net

 

 

 

 

 

 

조선의 명문 광주 이씨 문중사

'극'자 항렬 집안 8명이 조정에서 벼슬하기도

 용재(容齋) 성현(成俔, 1439-1504)이 쓴 용재총화(容齋叢話)의 기록을 보면

"지금 문벌이 성하기로는 광주 이씨가 으뜸이고

그 다음으로는 우리 성씨(成氏)만한 집도 없다.

광주 이씨는 둔촌(遁村) 이집(李集, 1327-1387) 이후 점점 커졌으니

둔촌의 아들 지직(之直)은 참의였고, 참의의 아들이 셋인데

장손(長孫)은 사인(士人: 벼슬하지 않은 선비)이고, 인손(仁孫)은 우의정이었고,

예손(禮孫)은 관찰사였다. 장손의 아들 극규는 지금 판결사로 있다.

우의정 인손에게는 다섯 아들이 있었다. 극배는 영의정 광릉부원군(廣陵府院君),

극감은 형조판서 광성군(廣城君), 극증은 광천군(廣川君),

극돈은 이조판서 광원군(廣遠君), 극균은 지중추(知中樞)였으니

모두 일품(一品)에 올랐으며 이 네 아들은 나라에 공이 있어 모두 군(君)으로

봉한 것이다. 광성군은 비록 일찍 죽었으나

그의 아들 세좌는 지금 광양군(廣陽君)이다"라고 적혀 있다.

 

여기서 우리 성씨란 창녕 성씨(昌寧成氏)를 말한다.

용재는 후일 대제학과 판서를 지낸 정치가이며 문장가로도 유명하다.

그는 그 글에서 자신을 포함한 3형제가 동시에 판서를 지낸 것을 자랑하면서도

광주 이씨에게는 미치지 못한다고 말한 것이다.

 

광주 이씨의 명성은 조선 중기의 명문 해평 윤씨의 월정(月汀) 윤근수

(尹根壽, 1537-1616)가 쓴 '월정만필(月汀漫筆)'에도 보인다.

광성군 이극감 집안은 8대를 연이어 문과에 급제했으며,

그의 아들 광양군 이세좌의 아우인 이세우(李世佑)의 집은

9대를 연이어 문과에 합격했다는 내용이다.

 

그래서 세조로부터 예종을 거쳐 성종 대에 이르기까지 '팔극조정(八克朝廷)'

이라는 말이 세상에 회자(膾炙)되었다. 조정에 벼슬하고 있는 극(克)자가

들어간 광주 이씨 집안 종반(從班)들이 무려 8명에 달해

당시 국정을 쥐락펴락했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청백리에 녹선된 둔촌 이집의 둘째 손자의 둘째 아들이 바로 이극감이다.

그의 증손자 중에는 이연경, 윤경, 준경 등과 같이 역사에 이름을 날린 인물만도 여럿이다.

 

소위 팔극의 자손들 가운데 둘째집인 극감의 후손들은 광주 이씨가 16세기 때

사림파(士林派)와 관계를 맺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극감의 아들인 이세좌와 손자 4형제는 함께 갑자사화로 화를 입었다.

그러나 그의 증손자들인 이연경과 윤경, 준경, 약수, 약해, 약빙 대에 이르면

정암 조광조, 모재 김안국, 청송 성수침, 퇴계 이황, 남명 조식 등과

학문적인 유대관계를 굳건히 해 사림의 명가로 거듭날 기반을 마련했다.

 

이연경은 한훤당 김굉필, 정암 조광조의 학통을 이어받았고

그 문하에 화담 서경덕, 소재 노수신(영의정, 경북 상주 출신,광산 노씨)과 같은

큰 인물을 대거 배출했다.

 

이극감의 아우인 이극돈의 5대손에 희대의 간신 이이첨(李爾瞻)이,

막내 동생 이극균의 5대손에 영의정 한음 이덕형(李德馨)이 났다.

이극돈은 유자광과 함께 무오사회를 일으켜 무수한 사림에게 피해를

준 인물로 지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그는 세종, 성종 대에 유능한 정치가이자 행정관으로 중용되었을

뿐 아니라 국방, 외교, 내치에 골고루 업적을 남긴 관료였다.

무오사화의 발단을 제공한 김종직이 도리어 국왕에게 미리 실록의 내용을

알리지 않았다는 이유로 북청으로 귀양을 갔다는 점은 역사 평가 작업이

쉽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극감의 맏아들인 세좌는 1482년(성종13) 8월 16일 좌승지로 사가에 있는

폐비 윤씨에게 사약을 들고가 왕명을 집행한 장본인이다.

 

이 일 때문에 윤씨의 아들로서 왕위에 오른 연산군의 분노를 사,

막내 삼촌인 이극균과 자신 그리고 아들 4형제를 포함한 광주 이씨

30여명이 함께 극형에 처하게 된다. 명문 광주 이씨의 문중이 누란(累卵)의

위기를 맞았던 사건의 중심에 이극감의 아들 세좌가 있었던 것이다.

 

1504년 갑자사화가 있은 2년 뒤 중종 반정이 있었고 이세좌의 손자 대에 이르러

광주 이씨 집안은 명실상부하게 재기한다. 그 배경에는 앞에서 언급한 대로

사림파와의 밀접한 관계가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영천 이야기(23) 영천에 있는 조선 8대 명당 2015.08.19.

148명에 정승... blog.daum.net/hwangksu/1093 여행 블로그 내 검색

 

무덤 주인공 광주 이씨 시조 이당의 고손 8명의 극자 항렬 후손들이

모두 문과에 합격하였다. 영의정 이지직(李之直)은 이집의 아들이고,

우의정 이인손(李仁孫)이 그 손자이다.

증손중에서 첫째는 영의정 이극배(李克培),

둘째가 형조판서 이극감(李克堪),

셋째는 병조판서 이극증(李克增),

넷째는 병조·호조판서 이극돈(李克墩),

다섯째가 이조판서 이극균(李克均)이다.

조정 회의에는 사촌인 이극규(李克圭), 이극기(李克基), 이극견(李克堅)까지

무려 8명의 광주이씨 ‘克’자 형제들이 참석하여 팔극조정(八克朝廷)

이라고  부를 정도였다.

 

조선시대 문과 합격자만 148명에 정승 5명, 대제학 2명이 배출되었다.

이준경, 한음 이덕형도 그의 후손이고 최근에는 이수성 국무총리를 배출했다.

이후 많은 자손들이 대과에 급제하자 명당 발복설을 인식하는 등

명당으로서 이름을 얻었다.

 

자기가 죽을 수 있는 禍까지 감수하면서도 숨겨 주고 자기가 잡아둔

명당 묘자리까지 제공한 최원도와 자기가 입만 막아주면 주인과 관계자 모두가

안전하도록 하기 위해 스스로 자결한 제비의 가상한 일들은 이당과 이집의 인품이

사랑과 존경을 받을 수 있는 실천자가 아니었나 싶다.

덕행이 주위를 감동시키는 인격의 소유자가 아니었을까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