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山外 南村
山外南村孰住壤(산외남촌숙주양) 春風歲歲到陽方(춘풍세세도양방) 花開四月鵑花馥(화개사월견화복) 麥熟微陰大麥芳(맥숙미음대맥방) 曠野金莎群鳳蝶(광야금사군봉접) 小川柳下唱鵹黃(소천류하창려황) 載來比比無非一(재래비비무비일) 其處其時好自量(기처기시호자량) 산 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길래, 해마다 봄바람이 남으로 오네! 꽃 피는 사월이면 진달래 향기, 밀 익는 오월이면 보리 내음새! 금잔디 넓은 벌엔 호랑나비 떼, 버들 밑 실개천엔 꾀꼬리 노래! 어느 것 한 가진들 실어 안 오리, 그 마을(넘촌) 그 때가(남풍불 때) 나는 좋데나! . 孰住 누가 살까? 歲歲 여러 해를 끊이지 아니하고 계속함. 陽方 남쪽(山南 水北 陽). 微陰 오월의 이칭. 金莎 금잔디. 鳳蝶 호랑나비. 鵹黃 꾀꼬리. 比比 어느 것. 無非 아니. 그러한 것이 없이 모두. 其處 그 곳. 其時 그 때. 自量 자기 혼자의 요량. 스스로 헤아림. 지인께서 박재란의 노래 ‘산 넘어 남촌에는’ 노래 가사를 한시로 옮겨 보라는 권유가 있어, 노래 2절까지 포함하여 율시로 작시해 봤습니다. 南, 風, 月 등 겹치는 한자가 많아, 동자중출 기피원칙을 지키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리고, 頸聯 對句, 버들 밭과 종달새는 버들 밑 뻐꾸기로 부득이 바꿨습니다. 산너머 남촌에는 -김동환 시, 1. 산너머 南村에는 누가 살길래, 해마다 봄바람이 南으로 오데. 꽃피는 사월이면 진달내향긔, 밀익는 오월이면 보릿내음새. 어느 것 한가진들 실어안오리, 南村서 南風불제 나는 좋데나. 2. 산너머 南村에는 누가 살길래, 저하늘 저빛갈이 저리고을가. 금잔듸 너른벌엔 호랑나비떼, 버들밭 실개천엔 종달새노래. 어느것 한가진들 들여안오리, 南村서 南風불제 나는 좋데나. 3. 산너머 南村에는 배나무섯고, 배나무꽃 아레에는 각씨섰다기, 그리운 생각에 재에 오르니, 구름에 가리어 자최안뵈나, 끈었다 이어오는 가는노래, 바람을 타고서 고요히들니데 |
댓글9추천해요0